MoS2 Field Effect Transistor 저전력 고성능 소자 구현을 위한 게이트 구조 설계 최적화

MoS2 Field Effect Transistor 저전력 고성능 소자 구현을 위한 게이트 구조 설계 최적화

썸네일 Challenge 애게서 업로드 하였습니다. 17. 8. 10 오전 11:27
평균 (0 투표)
이황화몰리브덴을 활용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는 채널 물질의 우수한 특성으로 차세대 저전력 고성능 스위치와 광전소자로 주목받고있다. Underlap 게이트 구조에서 게이트 길이(L_G), 절연체 두께(T), 절연체 상대유전율(εr)에 따라 변화하는 소자 특성을 분석하여 저전력 고성능 MoS2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위한 게이트 구조 최적화방법을 모색하였다. EDISON simulator 중 Tight-binding NEGF 기반 TMD FET 소자 성능 및 특성 해석용 S/W를 활용하여 게이트 구조에 따른 게이트 전압 - 드레인 전류 상관관계(transfer characteristic)를 얻고, Y-function method를 이용하여 채널 유효전하이동도(Effective Mobility), Sub-threshold Swing, on/off 전류비(on/off current ratio)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으로 추출한 소자의 최대 채널 유효전하이동도는 37 cm2V-1s-1, on/off 전류비는 104 ~ 105, Sub-threshold Swing은 ~38mV/dec 수준을 보였다.
경진대회: 나노물리 나노물리 » 5회 경진대회
태그: tb_em_negf_tmd
1 Of 3
코멘트
아직 코멘트가 없습니다. Please sign in to comment.

버전 1.2

EDISON Test가 마지막으로 수정함
17. 8. 29 오후 1:43
상태: 승인됨
이황화몰리브덴을 활용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ield Effect Transistor)는 채널 물질의 우수한 특성으로 차세대 저전력 고성능 스위치와 광전소자로 주목받고있다. Underlap 게이트 구조에서 게이트 길이(L_G), 절연체 두께(T), 절연체 상대유전율(εr)에 따라 변화하는 소자 특성을 분석하여 저전력 고성능 MoS2 전계효과트랜지스터를 위한 게이트 구조 최적화방법을 모색하였다. EDISON simulator 중 Tight-binding NEGF 기반 TMD FET 소자 성능 및 특성 해석용 S/W를 활용하여 게이트 구조에 따른 게이트 전압 - 드레인 전류 상관관계(transfer characteristic)를 얻고, Y-function method를 이용하여 채널 유효전하이동도(Effective Mobility), Sub-threshold Swing, on/off 전류비(on/off current ratio)를 추출하여 비교 분석하였다. 시뮬레이션으로 추출한 소자의 최대 채널 유효전하이동도는 37 cm2V-1s-1, on/off 전류비는 104 ~ 105, Sub-threshold Swing은 ~38mV/dec 수준을 보였다.
다운로드 (348k) URL 또는 Webdav URL 가져오기
버전 히스토리
버전 날짜 크기  
1.2 5 년 전 348k
1.1 5 년 전 984k
1.0 5 년 전 348k