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야별 논문보기
APP별 논문보기
- 2d_comp_p
- 2d_continuum_analysis
- 2d_incomp_p
- 2d_yuibm_1
- 3d_electrophysiology_humanhf
- brownian_dynamics
- caffeineedison
- cnt_fet
- cr2d_dyn
- cr2d_st
- csd_elast
- csd_eplast
- dock
- dpd_linear_polymer
- edava
- edisondesigner
- edwave2d
- eklgcmc2
- emega
- galaxytbm
- galaxydock
- galaxyrefine
- galaxytbm
- gamess
- ksec2d_ae
- ksec2d_wm
- lcaodftlab
- m-sketch
- nanowire_fet
- plate_shell_analysis
- pnjunclab
- sfe_calc
- sfe_calc_v2
- solarcell
- solv_freee
- tb_em_negf
- tb_em_negf_tmd
- tb_em_nw
- utb_fet
[NP_O_02] Silicene 의 Electric Field property 를 이용한 100meV 이상 급의 밴드갭에 관한 연구.pdf
[NP_O_02] Silicene 의 Electric Field property 를 이용한 100meV 이상 급의 밴드갭에 관한 연구.pdf

경진대회: 나노물리 나노물리 » 7회 경진대회
버전 1.1
기존의 연구동향을 고려하여 Silicene Monolayer와 bilayer의 수직방향 전기장 인가에 따른 100meV 이상 급의 밴드갭 특성을 연구했다. Monolayer 구조는 direct bandgap을 형성하며 MD계산의 경우 590 meV (5.1V/Å 인가)까지, single point 계산의 경우 1.25 eV (11.8V/Å 인가)까지 밴드갭이 형성되었다. Bilayer 구조 중 AB Stacking구조가 가장 안정하다는 것이 확인되었으며, 이 구조 하에서는 두 개의 간섭적인 디락콘이 형성되어 indirect band gap을 형성했다. Bilayer에서는 100meV 이상의 밴드갭을 형성할 수 없음을 확인했다. 결론적으로 Monolayer Silicene이 direct한 100 meV 이상 급의 밴드갭을 형성하여 recombination 확률이 높고, 열적 요동을 견딜 수 있어 광소자, 전자소자로서의 가능성을 보였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