Correlation analysis of electrical patterns and mechanical pumping performance during ventricular fibrillation using EDSION SW 본 연구에서는 빈맥성 부정맥 연구에서 주로 사용되는 전기적 불안정성 지표인 dominant frequency와 phase singularity, filament와 심장의 기계 역학적 수축 효율 사이의 관계를 규명하였다. 또한, 이러한 전기적 정량값들을 사용한 수축 효율의 예측 가능성을 확인하였다. 흥분-수축 연성 시뮬레이션을 통해 다양한 전기적 패턴에 따른 전기적 정보들을 측정하고 그에 다른 심 박출량을 구하였으며, 다중 회귀 분석을 사용해 수축 효율을 예측하기 위한 회귀식을 도출하였다. 그 결과, 전기적 정보들을 독립적으로 사용해 수축 효율을 추정할 때는 활동전위기간을 사용한 예측의 정확도가 89.2%로 가장 높았다. 하지만, 활동전위기간은 지배주파수와 강한 음의 선형 관계를 가지고 있어 모든 전기적 정보들을 동시에 고려한 수축 효율의 예측이 불가능 했다. 반면, 활동전위기간을 제외한 전기적 불안정성의 지표들 만을 사용해 수축 효율을 추정할 때의 그 정확도는 84.1%였다. 결론적으로, 이러한 전기적 불안정성의 지표들은 기계 역학적 수축의 지표로도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